본문 바로가기
돈 되는 정보 공유

퇴직금 지급 기준과 퇴직금계산기 계산하기

by 만빵 2024. 6. 24.

목차

    반응형

    퇴직금은 지급 기준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성실히 근무한 후 퇴직할 때 지급받는 일종의 보상금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퇴직 후에 생계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퇴직금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그 지금 방식과 계산 방법도 명확하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퇴직금 자격 요건

    1. 근속 기간

    근로자가 동일한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계속하여 근무해야 합니다. 1년 미만 근무한 경우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2. 근로시간 요건

    근로자의 주당 근로 시간이 평균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3. 근로형태 요건 

    정규직뿐만 아니라 계약직, 시간제 근로자도 근속 기간과 근로 시간 요건을 충족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퇴직 사유 

    퇴직금은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퇴직하든, 회사 측의 사정으로 퇴직하든 상관없이 지급됩니다 따라서 퇴직 사유는 퇴직금 지급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퇴직금 지급 기한

    근로자가 퇴직한 날로부터 14일 이내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근로기준법 제8조 제1항)

    단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하에 지급은 연장할 수 있습니다. 당사자간 합의 없이 퇴직일부터 14일 이내 퇴직금 지급되지  않으면 지연 일수에 대하여 연 20%의 지연 이자가 부과되고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됩니다. 

     

     

    퇴직금 계산 방법

     퇴직금은 기본적으로 근로자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평균 임금은 근로자가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임금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여기에는 각종수당, 상여금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 /365)

     

    중요 포인트! 

    3개월 급여 총액 - 퇴직일 기준으로 3개월 간 받은 기본 급여와 수당이며, 여기에는 1년간 받은 상여금과 인센티브가 모두 포함된다. 

    퇴직금의 경우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에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

     

     

    퇴직금계산기 사용하기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내가 지급받을 수 있는 퇴직금이 어느 정도인지 쉽게 알 수 있다. 

    입사일자, 퇴직일자를 입력하여 재직일수를 확인, 퇴직 전 3개월의 총액을 계산 후 상여, 연차를 입력하면 퇴직금일 어느 정도 되는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하기 (재직일수 확인)

     

    퇴직금 계산하기 (급여 입력)

     

    퇴직금 계산하기 (연간상여금 연차수당)

     

     

     

     

    퇴직금에서 중요한 점

    퇴직금 계산 시  최근 3개월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퇴사 직전 3개월 임금이 가장 중요합니다.

    총액을 최대한 올리기 위해 야근이나 주말 특근등을 이용하여  최대로 늘리는 것이 포인트!!! 

     

    내가 열심히 일한 권리인 소중한 퇴직금을 잘 챙겨서 받으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글

     

    퇴직급여제도 쉽게 알아보기

    퇴직급여제도퇴직급여제도란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 사용자가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퇴직급여를 지급할 목적으로 설정한 제도를 말합니다. 퇴직급여제도에는 DB(확정급여형

    mang-go4.tistory.com

     

     

    2024년도 최저시급 및 최저임금, 근무시간 주휴수당 계산방법

    2024년도 최저시급 오늘은 2024년도 최저임금과 시급, 근무시간에 따른 주휴수당 금액과 계산 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 근로

    mang-go4.tistory.com

     

    반응형

    댓글